평택항 신생매립지 관할권을 두고 충청남도와 당진, 아산시의 움직임에 평택시의 시민단체가 일침을 가하고 나섰다.
또한 행정자치부 중양분쟁조정위원회에게는 ‘어서 평택으로 귀속을 결정해 달라’고 촉구했다.
평택항 되찾기 범시민 운동본부는 지난 5일 평택시청 2층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평택항 신규매립지를 평택으로 귀속해 달라고 촉구했다.
김찬규 공동대표는 “최근 충청남도와 당진시, 아산시의 일련의 움직임과 당진시 범시민 대책위원회 명의로 진행되는 당진시민서명운동으로 지역갈등을 유바하는 행동에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며 기자회견의 배경을 설명했다.
지난해 2월부터 행정자치부 중양분쟁조정위원회(이하 중분위)에서 평택•당진항 내향 외곽호안 신규매립지에 대한 귀속자치단체를 결정하기 위해 현장방문과 학술토론회, 해외 유사사례 현장방문 등이 이뤄지고 있다.
이들은 “지역갈등으로 인한 개발지연을 막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소모적인 감정대립을 야기하는 졸렬한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평택항 내항 매립지는 당진과는 바다로 격리되어 있고 도로•교통, 상하수도, 통신 등 모든 기발시설이 평택을 통해 설치•운영되고 있다”며 “향후 유지보수 관리와 효율성, 경제성, 편의성, 행정의 능률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서부두를 포함한 내항 매립지는 당연히 평택시 관할이 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평택항 내항 신생매립지와 서부두의 문제를 일관되게 국가경쟁력 강화와 평택항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했지 조잡한 지역이기주의 차원에서 접근하지 않았다”며 “충청남도와 당진, 아산시의 정치적, 물리적 움직임으로 평택항 발전과 국토의 효울적 이용을 위한 국가정책 수행에 악영향을 끼쳐서는 절대로 않된다”고 비난했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중분위가 정치적 이해관계에 얽매이거나 지역이기주의에 눈치를 보지 않고 오직 국가경쟁력과 국토의 효율적 이용, 신생매립지의 매립목적에 걸 맞는 합리적인 결정을 조속히 내려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행자부 중분위는 평택항 매립지 경계분쟁과 관련, 오는 16일 전체회의를 개최한 뒤 이르면 다음달께 최종 결정을 내릴 것으로 알려졌다.
|